저신장증 검사
저신장증 아이들은 대부분 가족성 저신장증 또는 체질성 사춘기-성장 지연아이므로 뼈 연령(좌측 손목과 손을 X-ray 촬영하여 판단)을 측정하고 필요에 따라 빈혈 유무, 간 기능, 콩팥 기능, 전해질 균형, 칼슘, 인 대사, 소변 검사 등을 시행하며, 일부는 성호르몬, 갑상선 검사, 성장인자 등을 추가로 더 검사합니다.
그러나 성장 장애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뇌 자기공명영상, 성장호르몬 자극검사, 성선자극 호르몬 방출호르몬 검사, 종양인자 검사, 유전자 검사 등 매우 다양한 검사들을 선택적으로 시행하게 됩니다. 또한 저신장은 원인에 따라 다양한 경과를 보이며 치료 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.
1
충분한 운동, 건전한 식습관, 긍정적이고 즐거운 마음가짐, 현명한 스트레스 대처 등 건전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2
햄버거, 피자, 치킨, 라면 같은 패스트푸드나 인스턴트 식품은 열량에 비해 영양가는 매우 떨어지므로 삼가 하도록 합니다. 지나치게 단 음식은 열량만 높고 영양소는 적은데다 식욕을 떨어뜨리므로 삼가하는 것이 좋습니다.
3
각 식품에 들어 있는 영양소의 종류는 같을지 몰라도 효과나 흡수율 면에서 차이가 많기 때문에 골고루 먹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
4
일찍 자기보다는 늦게 자더라도 숙면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 10시 이후에 TV를 시청하거나 컴퓨터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.
5
운동 중에 신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 키를 키우기 위해 운동을 하는 것은 생각보다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.
운동의 진정한 가치는 운동을 통하여 친구를 사귀고, 건강한 신체와 마음을 유지하고, 즐거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.
6
비만이 생기면 사춘기 시작이 빨라질 수 있으므로 성장판이 빨리 닫힐 수 있어 과도한 체중 증가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7
아직까지 영양제와 한약 등이 성인 키를 키운다는 과학적인 증거는 불충분하고, 충분한 효과에 필연적으로 따르는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어 충분한 검토 후에 사용 유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